국내 모바일 메신저, 올해가 글로벌화의 기로 국내 모바일 메신저, 올해가 글로벌화의 기로 조성완 | 2013.02.04 카카오톡, 라인 등 국내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가 국내와 일본을 기반으로 발빠르게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아직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미미하다. 올해는 페이스북, 구글이 본격적으로 모바일 .. LG경제연구원 2013.02.09
소비자 불만, 선제적 대응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소비자 불만, 선제적 대응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태영 김민석 | 2013.02.03 최근 소비자 주권의식이 높아지고 소셜미디어가 활성화되면서 소비자 불만의 파고가 기업을 뒤흔드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는 온갖 개별적인 정보들로 복잡하게 얽혀있지만 하나의 정보를 어.. LG경제연구원 2013.02.09
실패에 무너지는 기업, 실패를 통해 강해지는 기업 실패에 무너지는 기업, 실패를 통해 강해지는 기업 신장환 | 2013.01.29 소니, 노키아, HP 등 해당 산업의 대표적 주자였던 기업들의 명성이 퇴색되고 위상이 크게 변했다.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변화의 돌발성도 많아졌다. 경쟁은 치열해지고 고객의 요구는 더욱 까다로와지면서 새로운 제.. LG경제연구원 2013.01.30
셰일혁명으로 부상한 Tight Oil, 유가 안정 역할 커진다 셰일혁명으로 부상한 Tight Oil, 유가 안정 역할 커진다 이광우 | 2013.01.28 셰일층 개발기술 혁신으로 북미에서 생산이 늘어나고 있는 타이트 오일은 향후 세계석유 생산 확대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현재 타이트 오일의 생산 비용을 고려할 때 타이트 오일의 생산 확대가 큰 폭의 유가 하.. LG경제연구원 2013.01.30
세계 주택가격 소폭 반등, 가계부채 늘어난 나라는 회복 지연 세계 주택가격 소폭 반등, 가계부채 늘어난 나라는 회복 지연 이혜림 | 2013.01.27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추락을 계속하던 미국 주택시장이 반등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전세계적으로 하향세로 돌아섰던 주택시장의 반등 여부는 나라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버블 붕괴 후 가계부채 조정이 .. LG경제연구원 2013.01.30
PER로 본 한국의 주가, 코리아 디스카운트 사라졌다 PER로 본 한국의 주가, 코리아 디스카운트 사라졌다 이한득 | 2013.01.22 우리나라 주가는 지난 10년간 기준 연평균 12.3% 상승했다. 주가상승률이 신흥시장(13.7%)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선진국(5.4%)보다는 높았다. 상대적인 주가 수준을 말할 때 PER 지표를 자주 인용한다. 우리나라의 주가는 내재.. LG경제연구원 2013.01.23
차기 정부의 하우스푸어 대책 차기 정부의 하우스푸어 대책 조영무 | 2013.01.21 차기 정부의 보유주택지분매각제도는 하우스푸어의 주택 소유권을 유지시켜 주면서도 다중채무자를 포함한 보다 광범위한 계층의 대출원리금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공적 지원의 적정성, 채무자의 도덕적 .. LG경제연구원 2013.01.23
DIY앱 시대가 다가온다 DIY앱 시대가 다가온다 유미연 | 2013.01.21 모바일 앱도 Do-it-Yourself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사용자 친화적인 UI에 기반한 앱 저작툴과 다양한 개방형 서비스를 상호 융합할 수 있는 매쉬업 환경이 서비스 개발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사용자의 앱 제작을 북돋워주고 있다. 지금까지의 웹 서.. LG경제연구원 2013.01.23
매장에서 보고 온라인으로 사는 쇼루밍족이 늘고 있다 매장에서 보고 온라인으로 사는 쇼루밍족이 늘고 있다 최경운 | 2013.01.20 매장에서 제품을 구경한 후, 저렴한 가격을 찾아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쇼루밍족이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들고, 스마트폰과 가격비교 앱 등으로 인해 탐색 비용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소.. LG경제연구원 2013.01.23
막 내리는 엔고, 엔저 가속화에는 한계 막 내리는 엔고, 엔저 가속화에는 한계 이지평 배민근 | 2013.01.13 아베 새 일본 총리의 인플레이션 및 엔저 유도정책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2007년 이후 계속되어 온 엔고 기조가 엔저로 전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번 엔저의 중심 범위는 달러당 85~92엔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 LG경제연구원 2013.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