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히틀러 이후 70년 … 독일인은 어떻게 가장 매력적인 국민 됐나_정치/외교/안보
http://news.joins.com/article/21264856 ![]() 1970년 12월 빌리 브란트 당시 서독 총리는 폴란드 유대인 위령탑 앞에서 무릎을 꿇었다. 그 이후에도 피해자들에 대한 독일인들의 사죄는 계속됐다. [중앙포토] 제2차 세계대전은 1950년대의 독일 지식인들에게 큰 고민을 안겼다. ‘2차대전을 전후해 독일이 저지른 잘못을 답습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였다. 독일 지식인들이 주목한 것은 2차대전을 일으킨 장본인인 아돌프 히틀러가 독일에서 투표와 선거를 통해 합법적으로 집권했다는 사실이다. 독일은 1933년 국민투표를 거쳐 당시 총리인 히틀러가 대통령직을 겸하도록 허용했다. 1년 전인 32년 히틀러가 이끄는 나치당은 총선에서 이겨 제1당이 돼 히틀러가 총리에 올랐다. 국민성 바꾼 시민교육의 힘 독일의 지성들은 “히틀러의 집권과 독주를 견제하지 못한 데는 유권자이기도 한 시민들 책임이 크다”고 자성했다. 이런 반성에서 시민교육의 중요성에 눈을 뜨게 됐다. 정진영(국제정치학) 경희대 부총장은 “전후 독일 지식인들은 민주주의라는 제도를 갖추는 것 못지않게 그 제도를 운영하는 시민의 역량도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었다”고 해석했다. ![]() 독일에서 시민교육이 활발해진 것은 76년부터다. 이 해에 보수·진보 진영을 대표하는 정치인·지식인들이 ‘이념과 정파를 뛰어넘는 시민교육 3원칙’에 합의했다. 조그마한 시골도시인 보이텔스바흐(Beutelsbach)에 모여 합의에 성공해 ‘보이텔스바흐 협약’으로 불린다. 협약엔 ▶강압적인 교화(敎化)와 주입식 교육을 금지하고 학생의 자율적 판단을 중시하며 ▶논쟁적 주제는 수업 중에 다양한 입장과 논쟁 상황이 그대로 드러나도록 하고 ▶학생의 상황과 이해관계를 고려해 스스로 시민적 역량을 기르도록 돕는다는 게 핵심이다. 사회 이슈 다루는 시민대학, 독일에 1000곳 ![]()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주최 ‘인성콘서트’에서 다니엘 린데만이 독일의 시민교육 방법에 대해 말하고 있다. JTBC 비정상회담에 출연하는 독일 출신 다니엘 린데만(32)은 통일 이후에 학교를 다녔다. 그는 학창 시절의 시민교육 수업을 잊지 못한다. 학년별로 주제는 달랐지만 일주일에 두 번은 토론수업을 했다. 학교 측이 미리 주제를 알려주면 학생들은 자료조사를 하고 수업에 임했다. 린데만의 기억에 가장 선명히 남은 수업은 고등학교 1학년 때의 ‘민주주의 대 사회주의’ 토론이었다. 토론은 몇 주 동안 이어졌다. 교실의 모든 학생이 참여해 양 체제를 놓고 논쟁을 벌였다. ![]() “애덤 스미스와 마르크스의 사상에서부터 현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논리까지 친구들과 정말 열정적으로 토론했어요.” 이 수업의 특징은 특정 관점에만 머물지 않고 반대 입장으로 바꿔가며 토론한다는 점이었다. 상대의 논리도 공감할 수 있는 여지를 갖기 위해서다. 린데만은 “같은 학생이 지난주에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논리를 폈다면 이번 주엔 사회주의를 옹호하는 방식이었다”며 “다양한 관점을 취하면서 각 체제의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다”고 회상했다. 그는 특히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체제 중 무엇이 우월한지를 주입식이 아니라 스스로 느끼고 판단하는 방식으로 배웠다”고 설명했다. “한국, 사회 갈등 비용 연 최대 246조원” ![]() 시민의식의 성장은 독일이 글로벌 리더로 부상하는 데도 큰 역할을 했다. 2015년 난민 사태 때 독일 시민들은 넓은 포용력을 보였다. 폐쇄적 입장을 보인 다른 유럽 국가들의 모범이 됐다. 한국 국민에게도 독일의 이미지는 좋다. 본지가 2015년 시민 3068명에게 ‘가장 매력적인 국민과 그 이유’를 물었다. 그 결과 독일인(23.6%)이 압도적 1위였다. 성숙한 시민의식과 관용 정신이 그 이유였다. 김종영 서울대 기초교육원 교수는 “포용과 신뢰 등 독일 시민에 대한 좋은 이미지 덕분에 독일 제품에 ‘ 프리미엄’이 붙고 있다”고 말했다. |
'정치, 국제정세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극기 휘날리며 보수는 망해갑니다 - 북한, '선의'만으로는 바뀌지 않는다 (0) | 2017.03.03 |
---|---|
‘탄핵 기각설’에 ‘자진 사퇴설’까지.. - 한국 엘리트의 '극우 선동' 맨얼굴 드러났다 (0) | 2017.03.02 |
김평우와 '촛불시민'의 공통점은? (0) | 2017.02.27 |
황교안 권한대행도, 최순실씨도 힘내시라 - 탄핵과 벚꽃 대선은 축복인가? (0) | 2017.02.24 |
"우리가 모르는 미국이 다가오고 있다" - 북핵문제.. (0) | 2017.02.23 |